푸드트럭, 동아줄이 맞을까


최종열 0821jy@gmail.com


원본기사 요약

푸드트럭 합법화 이후 많은 젊은이들이 푸드트럭 사업에 뛰어들었습니다. 푸드트럭은 과연 성공했는지, 문제가 있다면 활성화를 위한 과제는 무엇인지 알아봤습니다. 푸드트럭 허가지역은 인적이 별로 없는 곳이 대부분이었고 기존 상권과의 마찰도 많았습니다. 이에 불법운영을 하는 푸드트럭도 생겨났습니다. 미국에서는 한국보다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푸드트럭. 전문가들의 의견대로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또한 청년창업을 위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도 절실합니다.


foodtruck

재래시장에 늘어선 푸드트럭 경기 수원시가 올해 초부터 수원남문시장에서 시작한 '청년 창업 푸드트레일러 존'사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사진은 지동교에 마련된 푸드트럭존의 모습.


오랜 기간동안 청년실업 문제가 지속되는 가운데 몇 년 전 푸드트럭이 하나의 해결책으로 떠올랐다. 점포를 차리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자본이 적게 들어 진입장벽이 낮고, 푸드트럭으로 ‘대박’을 터뜨렸다는 얘기들도 심심찮게 들려오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심은 2017년 <백종원의 푸드트럭> 의 방영과 최근까지도 유행하고 있는 ‘먹방’ 트렌드 등이 영향을 끼쳐 더욱 높아지고 있다. 수원시도 이를 의식한 듯 ‘청년 창업 푸드트레일러 존’ 사업을 여는 등 지자체 차원에서 이를 지원하려는 모습도 보인다.

하지만 이들의 미래가 그리 밝지만은 않아보인다. 푸드트럭 창업을 시작한 이들은 처음부터 기존 상권과의 영업 장소에 대한 마찰을 마주하게 되고 이를 피하게 되어도 제한적인 영업시간이라는 기준에 부딪히게 된다.

요식업을 접고 스페인 음식 푸드트럭 운영을 시작한 이계수씨는 “사람이 다니는 길이 아니니까. 전혀 몰라요. 푸드트럭 특성을 못 살리고 한 자리에만 머물러 있어야 되는 게 좀 아쉽죠.” 며 영업장소에 대한 아쉬움을 내비쳤다. 카페 푸드트럭을 운영하고 있는 박자현씨는 "비 오거나 3월 같은 경우 하루에 매출이 5만 원에서 8만 원 정도? 비가 오면 한 4~5만 원 정도 적었던 것 같아요." 라며 푸드트럭 사업이 날씨나 시간적인 측면에서도 자유롭지 못하다며 한탄했다.



위 그래프는 2018년 6월~2019년 3월 사이에 조사된 수도권 일부 지역의 푸드트럭 허가지역에서의 푸드트럭 수를 보여준다. 모든 지역이 조사된 것이 아니라고 해도 2014년 정부에서 기대했던 2천대에는 크게 못미치는 수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지나가며 보았던 푸드트럭들의 수보다도 적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어떻게 된 것일까.

행사장 주변에서 장사를 하는 이○○씨는 푸드트럭을 불법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그는 "몇 대는 정식 허가 받은 차예요. 근데 어디 가서 장사 할 곳이 없으니까 같이 노방(길가 불법 영업) 뛰는 거예요. 나라에서 제공해주는 영업지가 100군데라면 푸드트럭 불법 영업 차들은 1000대예요. 다 생존할 수 있냐, 그것도 아니에요. 중간에 포기하고 그러면 그 사람들은 빚더미에 앉는 거고." 라며 국가에서 지정한 푸드트럭 운영지로는 모든 푸드트럭을 수용하기 부족하며 불법운영이 어쩔 수 없는 선택임을 강조했다.

불법 푸드트럭 운영자들은 적발시 수십만원의 벌금을 부과받아 손해를 볼 대도 있지만 당장 허가를 받기는 꺼려하는 입장이다.




(표) 수도권 지역별 허가구역명 및 운영기관

실제로 수도권에서 푸드트럭을 위한 지역은 서초구에 1곳밖에 없었고 나머지 구역은 기존 상권들과 위치가 겹치거나 인적이 드문곳이 많았다. 허가구역이 단 한곳밖에 없는 곳도 많았다. 또한 운영기관이 통일된 것이 아니라서 각 지역별로 기준도 상이했다.



우선 운영시간이 달랐는데, 주말에는 저녁밖에 운영을 못하는 곳도 있었고 24시간 운영이 가능한 곳은 경기도의 여수와 광주밖에 없었다. 서울의 관악구, 서대문구, 금천구. 경기도의 광명시, 수원시, 안양시 등에서 영업하는 푸드트럭 운영자들은 이에 부담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조사구역의 3분의 1정도의 지역은 휴무일도 있었다. 이 중 평일, 주말, 공휴일 등에 휴무일이 걸려있는 곳과 아예 계약일자만 영업할 수 있게 하는 곳이 대다수였다.



허가구역 사용료는 매우 극심한 차이를 보였다. (안양종합운동장은 수익의 15%를 사용료로 가져가기에 표에서 제외하였다.) 서초구는 모든 지역이 십만원대 이상이었고 푸드트럭존은 백만원을 넘었다. 그러나 광명시에서는 8000원을 사용료로 부과했다. 어느 지역에서 영업을 하느냐가, 인적이 드문지 아닌지의 영향도 받을 수 있겠지만 지역 사용료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운영시간과 이용료 등의 문제도 푸드트럭 운영자들의 영업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차게 시작한 청년들의 푸드트럭 사업. 하지만 장애물이 많아보인다.

푸드트럭의 천국이라 불리는 미국에서는 어떻게 관리하고 있을까? 미국에서는 위생 검사 항목이 100개가 넘는다. 영업이 가능한 도로와 지정구역, 정해진 시간대도 다양하고 변동도 잦다. 대신 명확하게 제시된 조건만 충족하면 자유롭게 영업할 수 있다.

기존 상인들의 민원 등을 이유로 상권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지 못하는 우리나라와는 대조적이다.

푸드트럭과 음식 자영업자가 서로 윈윈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박주영(숭실대 벤처중소기업학과 교수) : "점포가 집적되면요. 경쟁적인 부분이 있고, 보완 경쟁이 있습니다. 푸드트럭이 모여서 보완이 되는 지역이라면, 소비자가 더 멀리서 많이 모이기 때문에 그 지역 상권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규제를) 여기 조금 풀어주고 저기 조금 풀어줘서 될 게 아니라 뭔가 총체적인 계획이 있어야 된다고 생각됩니다."

청년실업에 대한 해결책으로 야심차게 꺼낸 푸드트럭 합법화 카드. 하지만 현실과 이상의 거리는 아직 멀어보인다. 푸드트럭 합법화 지역에서의 기존 상권과의 다툼 문제부터 시작해서 제한적이 운영시간과 특정지역의 높은 이용료. 불법 푸드트럭 운영자들이 늘어날 수 밖에 없는 이유다. 이들을 합법적 운영의 길로 들어서게 하기 위해선 구체적이지 않은 푸드트럭 활성화 정책은 의미가 없어보인다. 실제로 수원시의 '청년창업 푸드 트레일러 존' 사업이 크게 실패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의 의견대로 지자체에서는 지금 앞에 보이는 문제만을 해결하는 것이 아닌 구체적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 푸드 트럭존을 아예 따로 만들거나 도깨비 야시장 같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의 행사 개최 등이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실업을 피해 잡은 '푸드트럭' 이 썩은 동아줄이 될지 아닐지는, 지자체와 시민들의 관심에 달렸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

공공 데이터 포털, 각 지자체 https://www.data.go.kr/search/index.do

KBS 뉴스 "푸드트럭은 달리고 싶다"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508555

인천일보 기사, “자리 못 잡는 푸드트럭”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817956#08hF

연합뉴스 기사, "재래시장에 파고든 푸드트럭…수원시의 실험 성공할까 " https://www.yna.co.kr/view/AKR20170911164800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