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군함도>가 개봉되고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분노가 일었다. 군함도 안에서 벌어진 일본의 만행에 대해, 섬 속의 조선인 간 갈등을 영화 속에
담은 감독에 대해 많은 이들은 분노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그 섬이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등재됐다는 사실에 대해서다.
일본은 어떻게 군함도를 문
화유산으로 등재했는지, 우리는 어떻게 대응했는지 팩트체크 해 본다.
군함도는 어떻게 세계문화유산이 됐나
일본 정부의 ‘군함도’ 관광 유산화
  일본 정부는 1974년 폐광 된 뒤 유령도시로 남아있던 군함도를 관광 자원으로 개발하기 시작한다. 그 이유는 군함도에 일본 최초의 고층 콘크리 트 건물이 있고, 군함도를 메이지 시대상을 잘 보여줄 수 있는 근대화의 상징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몇 년간의 유지보수 기간을 거친 뒤 군 함도는 붕괴 위험이 있는 곳을 제외하고 2009년 일반 관광객들에게 개방된다.
2013년 9월 30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후보 신청
  2013년 9월 30일, 일본 정부는 군함도를 비롯한 규슈(九州)와 야마구치(山口) 현의 근대화 산업유산 28곳을 유지 보수하고 이들 지역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후보로 신청한다. 후보 유적지는 대부분 일제강점기 한국인 수천 명이 강제노역을 했던 조선소, 해저탄광 등이다.
2015년 5월 ICOMOS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록 권고
  2015년 5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산하 민간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메이지(明治) 일본 산업혁명 유산 23곳을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록하도록 유네스코에 권고한다. ICOMOS는 23개의 유적 등재에 대해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자문 기구의 결정 이후 발등에 불이 떨어진 한국 정부는 허둥지둥 대응책을 준비한다. 무조건 등재 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일부 몰지각한 언론인과 국민들의 반응에 무작정 등재를 반대하기 위한 행동을 보이기 시작한다.
2015년 7월 5일 세계문화유산 최종 등재 확정
  8년 동안 세계 문화유산 등재를 준비하던 일본에 비해 너무 늦은 대응을 한 결과 일본이 신청했던 23곳(나가사키(長崎) 조선소, 하시마(端島·일 명 '군함도') 탄광 등 조선인 수만 명이 강제노동한 현장 7곳 모두 포함)이 최종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확정되었다. 등재 추진 과정에서 조선인 강제노동 사실을 어떻게 반영할지를 놓고 한일 정부는 우여곡절 끝에 '의사에 반해 끌려가 노동을 강요당했다(forced to work)'는 표현으로 타협점을 찾게 되었다. 하 지만 이는 역사적 사실을 오롯이 인정한 것이 아니기에 한국 정부는 많은 비판에 직면한다.